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직장 내 괴롭힘, 참지 말고 이렇게 대응하세요 – 법적 보호와 구제 절차
직장 내 괴롭힘은 많은 근로자들이 겪는 현실적인 문제입니다.
하지만 문제를 겪고도 “참아야 한다”는 분위기나 고용불안 때문에 제대로 된 법적 대응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019년부터 시행된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을 통해, 이제는 괴롭힘을 당한 근로자도 법적으로 보호받고 구제받을 수 있는 길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직장 내 괴롭힘의 정의부터 대응 절차, 법적 보호까지 상세히 설명합니다.
📌 직장 내 괴롭힘이란?
「근로기준법 제76조의 2」에 따르면, 직장 내 괴롭힘이란 다음의 3가지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지위나 관계의 우위를 이용
- 업무상 적정 범위를 초과
-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주거나 근무환경을 악화
단순한 지적이나 훈계가 아닌, 반복적이거나 비상식적인 행동이 해당됩니다.
✅ 대표적인 괴롭힘 사례
- 반복적인 폭언, 욕설
- 단체 대화방에서 배제하거나 따돌림
- 부당한 업무 전가 또는 업무 배제
- 정당한 이유 없이 야근·출장 강요
- 인사상 불이익 위협
⚖️ 법적 보호 제도
-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근로기준법)
- 산업안전보건법 – 정신적 스트레스 예방 조치 의무
- 민법 – 손해배상 청구 가능
- 형법 – 모욕죄, 폭행죄, 강요죄 등 적용 가능
📄 직장 내 괴롭힘 대응 절차
- 증거 확보
- 문자, 메신저, 이메일, 녹취, 영상, 목격자 진술 등 기록 필수 - 회사 내 고충처리 절차 이용
- 인사팀, 고충처리 위원회에 신고 (익명 가능) - 고용노동부 신고
- 회사가 미조치 시 고용노동부에 신고 가능 - 손해배상 및 형사고소
- 정신적 피해, 인격권 침해로 민사소송
- 반복적 모욕, 폭행은 형사처벌 대상
📢 피해자가 꼭 알아야 할 권리
- 피해자 불이익 조치 금지 (인사 불이익 시 회사 과태료 3천만 원)
- 사건 조사 중 보호조치 요청 가능 (부서 이동, 가해자 격리 등)
- 회사 미조치 시 국가기관 개입 가능
📌 실제 사례
- 사례 1: 대기업 부서장이 부하직원에게 반복적 욕설 → 1천만 원 위자료 배상
- 사례 2: 카톡 단체방에서 조롱과 비하 발언 → 형사 모욕죄 인정
- 사례 3: 반복적인 야근 강요 및 단독 업무 → 정신질환 진단 후 산업재해 인정
💡 예방을 위한 실천 팁
- 업무 대화는 반드시 기록으로 남길 것
- 폭언이나 비하 발언은 즉시 녹음 혹은 캡처
- 고충처리 시스템 없는 회사는 노동청에 직접 신고
- 정신적 고통이 있다면 병원 진단서 확보
🔚 마무리
직장 내 괴롭힘은 근로자의 인격을 훼손하고, 삶의 질을 심각하게 저하시키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하지만 이제는 참기보다는 증거를 확보하고, 법적으로 정당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시대입니다.
회사가 적절한 조치를 하지 않으면, 법적 책임과 과태료, 손해배상까지 물게 됩니다.
피해자는 절대 혼자가 아니며, 법이 보호하고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