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청년이라면 꼭 챙겨야 할 소득공제 혜택 총정리 – 세금 줄이는 똑똑한 방법
월급은 오르지 않는데 세금은 늘어난다고 느껴지시나요?
특히 사회초년생이나 20~30대 청년이라면, 세금에 대한 부담이 크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잘 찾아보면, 청년을 위한 소득공제·세액감면 제도가 꽤 많습니다.
오늘은 청년이 받을 수 있는 핵심 세금 혜택들을 정리해서 알려드릴게요. 꼭 챙기면 연말정산이 달라집니다!
✅ 1.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청년 감면제도)
만 15세 이상 ~ 만 34세 이하의 청년이 중소기업에 취업한 경우, 최대 5년간 소득세 90%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감면 한도는 연 150만 원, 총 5년간 750만 원까지입니다.
- 대상: 중소기업 취업 청년
- 조건: 정규직 고용, 고용보험 가입
- 신청: 회사에 ‘감면신청서’ 제출 후 연말정산 반영
✅ 2.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2023년 종료 → 대체제: 청년도약계좌)
과거 청년소득공제 장기펀드는 종료되었지만, ‘청년도약계좌’, 청년형 ISA’가 새롭게 등장했습니다.
이들 계좌는 납입금에 대해 비과세·소득공제 혜택을 제공합니다.
✅ 3. 청년형 ISA 계좌 – 연 400만 원까지 비과세
2023년부터 청년 전용 ISA 계좌(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가 신설되었습니다.
세후 수익을 높이고, 연말정산 시 소득공제도 받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
- 조건: 만 19~34세, 근로소득자 또는 사업소득자
- 혜택: 운용 수익에 대해 400만 원까지 비과세
- 금융사: 은행, 증권사, 보험사 등에서 가입 가능
✅ 4. 주택청약 납입액 소득공제
무주택 세대주 청년이라면, 주택청약 납입액도 공제 가능합니다.
- 조건: 총 급여 7천만 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
- 공제한도: 연 240만 원 한도 (월 20만 원까지)
- 공제율: 40% (최대 96만 원 환급 가능)
✅ 5.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 이자 소득 비과세 + 우대금리
만 19~34세의 무주택 청년은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을 통해 고금리 혜택과 함께, 이자소득 500만 원까지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조건: 연소득 3천만 원 이하, 총 급여 3,600만 원 이하
- 혜택: 우대금리 최대 3.3%, 이자소득 비과세
✅ 6. 연금저축계좌 + IRP 세액공제
소득이 있는 청년이라면 연금저축(400만 원) + IRP(300만 원)을 통해 최대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총 급여 5,500만 원 이하일 경우, 세액공제율 16.5%
- 최대 세액공제: 700만 원 x 16.5% = 115만 원
✅ 7. 카드 소득공제 – 알뜰한 소비로 절세
연간 총 급여 7천만 원 이하인 청년은 카드 사용액 중 일정 금액 이상을 넘긴 경우,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총급여의 25% 초과분부터 공제 가능
- 공제율: 체크카드·현금영수증(30%), 신용카드(15%)
💡 그 외 청년 대상 세금 혜택 요약
- 고용보험료 환급 제도
- 청년내일 채움공제 (소득공제+정부 지원금)
- 전세자금대출 이자 지원 (간접적 절세 효과)
🔚 마무리
청년에게는 ‘소득이 적으니 세금도 별로 없다’는 오해가 있지만, 공제를 챙기지 않으면 오히려 세금을 더 내는 경우도 많습니다.
연말정산 시즌이나 종합소득세 신고 시, 오늘 소개한 청년 소득공제 항목을 반드시 체크하세요. 누구나 챙길 수 있고, 환급까지 가능한 제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