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4대 보험료 계산기 사용법 총정리 – 월급에서 빠져나가는 돈, 정확히 확인하세요!
직장인이라면 월급 명세서를 볼 때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이 바로 4대 보험 공제 금액일 겁니다.
매달 수십만 원씩 빠져나가는데, 도대체 이게 어떻게 계산되는 걸까요?
오늘은 4대 보험이란 무엇인지, 각각 얼마를 내는지, 그리고 직접 보험료를 계산할 수 있는 무료 계산기 사이트까지 모두 알려드릴게요!
✅ 4대 보험이란?
대한민국에서 근로자가 가입하는 4대 보험은 아래 네 가지입니다.
- 국민연금 – 노후 보장을 위한 연금 제도
- 건강보험 – 병원 이용 시 혜택을 받는 의료보험
- 고용보험 – 실직 시 구직급여 등 지급
- 산재보험 – 업무 중 사고 발생 시 보장
이 중에서 산재보험은 전액 회사 부담이며, 나머지 3개는 근로자와 회사가 반반 부담합니다.
📌 월급에서 빠지는 4대 보험 비율
구분 | 근로자 부담 | 사업주 부담 | 총 부담률 |
---|---|---|---|
국민연금 | 4.5% | 4.5% | 9.0% |
건강보험 | 3.545% | 3.545% | 7.09% |
장기요양보험 | 건강보험료의 12.81% | 동일 | - |
고용보험 | 0.9% | 0.9% + 고용안정/직업능력개발사업 부담률 | 1.8% 이상 |
산재보험 | 0% | 전액 사업주 부담 | 업종별 상이 |
💻 4대 보험료 계산기 사이트 소개
정확한 보험료를 알고 싶다면, 아래 공식 사이트의 계산기를 이용해 보세요.
- 국민연금 보험료 계산기 – 국민연금공단
- 건강보험료 모의 계산 – 건강보험공단
- 고용보험 모의계산 – 고용노동부
- 산재보험료율 안내 – 근로복지공단
또한, 통합으로 계산해 주는 민간 사이트들도 많습니다.
예:
✍️ 예시: 월급 300만 원이면 얼마나 빠질까?
기준 월급(보수월액) 3,000,000원일 때 예상 공제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4년 기준):
- 국민연금: 약 135,000원
- 건강보험: 약 106,350원
- 장기요양보험: 약 13,620원
- 고용보험: 약 27,000원
총 공제액 약 282,000원 → 실수령액 약 2,718,000원
💡 팁: 4대 보험 줄이는 방법은 없을까?
법적으로 필수 항목이라 임의로 줄이기는 어렵지만, 일부 프리랜서나 개인사업자는 4대 보험 대신 임의가입 혹은 민간보험 대체를 선택하기도 합니다.
단, 실업급여나 국민연금 수령을 고려하면 가입 유지가 장기적으로 유리합니다.
🔚 마무리
4대 보험은 우리 삶에 꼭 필요한 사회안전망입니다. 다만, 매달 빠지는 금액이 궁금하다면 4대 보험료 계산기를 통해 사전에 확인하고, 실수령액을 기반으로 소비 계획을 세우는 것이 현명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