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절세 가능한 기부금 항목 총정리 – 연말정산·종합소득세에서 세금 돌려받는 꿀팁!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면 많은 직장인과 프리랜서들이 묻습니다.
“기부도 세금공제가 되나요?” 정답은 ‘예’입니다.
하지만 모든 기부금이 다 세금 공제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국세청이 인정한 법정기부금, 지정기부금, 정치자금기부금만이 소득공제 또는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기부금 항목별 절세 방법, 공제율, 한도, 주의사항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립니다.
✅ 기부금 종류와 공제 방식
기부금은 세법상 아래 3가지로 나뉩니다.
1. 법정기부금
- 대상: 국가, 지방자치단체, 국공립 대학·병원 등
- 공제방식: 전액 소득공제
- 한도: 없음 (100% 공제)
예시: 서울대 발전기금, 국립암센터 기부, 공공병원 기부금 등
2. 지정기부금
- 대상: 사회복지재단, 종교단체, 시민단체 등
- 공제방식: 세액공제 (근로소득자 기준)
- 한도: 소득금액의 30% (사업자는 필요경비 산입)
- 공제율:
- ~1,000만 원: 15%
- 1,000만 원 초과: 30%
예시: 월드비전, 굿네이버스, 적십자사, 유니세프, 교회·성당·사찰 헌금 등
3. 정치자금기부금
- 대상: 정당, 정치후원회, 국회의원 후원 등
- 공제방식:
- 10만 원 이하: 전액 세액공제
- 10만 원 초과: 15~25% 세액공제
- 한도: 소득세의 10% 내
📌 기부금 공제받으려면?
공제받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합니다.
- 국세청에서 인정한 단체에 기부했는가?
- 연말정산 시 기부금 영수증을 제출했는가?
- 사업자는 필요경비로 처리했는가?
- 홈택스에 기부금 내역이 등록되어 있는가?
※ [홈택스 → 연말정산간소화 서비스]에서 확인 가능
🧾 절세 효과 시뮬레이션
연소득 | 기부금 | 항목 | 절세 효과 |
5,000만원 | 200만원 | 지정기부금 | 약 30만원 세액공제 |
8,000만원 | 50만원 | 정치자금기부금 | 50만원 전액 환급 |
1억원 | 1,000만원 | 법정기부금 | 전액 소득공제 |
👉 특히 정치자금 기부금은 10만 원까지 100% 세액공제이기 때문에 적은 금액으로도 절세 효과가 큽니다.
💡 기부금 절세 꿀팁
- 기부영수증 필수 제출 (홈택스 자동 연동 or 직접 발급)
- 부부가 각각 기부하면 공제 한도 ↑
- 12월 전에 기부 마무리 → 당해연도 공제 가능
- 정치자금은 소액 기부로도 혜택 가능
- 고소득자는 세액공제율이 높으므로 고액 기부 시 유리
🔚 마무리
기부는 세상을 따뜻하게 만드는 행동이지만, 동시에 합법적인 절세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국세청에서 인정한 기부금 항목을 파악하고, 정확한 영수증과 서류를 제출하면 수십만~수백만 원의 세금 절감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이번 연말정산 혹은 종합소득세 신고 전에 지금까지 기부한 금액을 정리해 보고, 절세 효과를 꼭 챙기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