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휴일 근무수당 계산기

수익을 만들자 2025. 8. 13. 16:24

목차



    반응형

    휴일 근무수당 계산기: 주휴일·공휴일 근무, 얼마를 받아야 할까?

     

    휴일 근무수당 계산기
    휴일 근무수당 계산기

     

    휴일(주휴일·법정 공휴일)에 일했다면 통상임금 기준으로 가산 수당을 받아야 합니다. 기본 원칙은 간단합니다. 휴일 8시간 이내: 시급의 150%, 휴일 8시간 초과: 시급의 200%, 여기에 야간(22:00~06:00) 근로는 +50%가 추가됩니다. 즉, 휴일 밤 8시간 초과분은 시급의 250%가 되는 구조죠. 아래 계산기는 월급제·시급제 모두 지원하며, 글 하단에는 계산 규칙과 예시를 자세히 정리했습니다.

    휴일 근무수당 계산기

    1.바로 쓰는 휴일 근무수당 계산기

     

     
    ※ 월급 입력 시 표준 209시간으로 시급 환산합니다(통상 관행). 고정수당·식대 등 제외 통상임금 기준을 권장합니다.

    2. 계산 규칙 한눈에 보기

    • 휴일 8시간 이내: 통상시급 × 150% (기본 100% + 휴일가산 50%).
    • 휴일 8시간 초과(연장): 통상시급 × 200% (기본 100% + 휴일 50% + 연장 50%).
    • 야간(22:00~06:00): 추가 50% 가산. 휴일·연장과 중복 가산됩니다.
    • 월급 → 시급 환산: 일반적으로 월급 ÷ 209시간을 사용(소정근로 40h/주, 유급주휴 포함 표준).
    • 통상임금 기준: 고정성·일률성이 없는 수당(식대, 교통비 등)은 제외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퀵 포인트
    • 같은 10시간이라도 밤 3시간을 포함하면 야간 50%가 추가되어 총액이 달라집니다.
    • 연장, 야간, 휴일은 각각의 요건을 충족하면 누적(중복) 가산이 적용됩니다.
    • 취업규칙·단체협약이 법정 기준보다 유리하게 정하면 그 기준을 따릅니다.

    휴일 근무수당 계산기

    3. 예시로 이해하기

     

    예시 1) 월급 2,500,000원, 휴일 6시간(주간만)

    1. 시급 환산: 2,500,000 ÷ 209 ≈ 11,961원
    2. 기본급: 11,961 × 6 = 71,766원
    3. 휴일 가산(<=8h): 11,961 × 0.5 × 6 = 35,883원
    4. 합계: 71,766 + 35,883 = 107,649원 (약 107,600원)

    예시 2) 시급 12,000원, 휴일 10시간(그중 야간 3시간)

    1. 기본급: 12,000 × 10 = 120,000원
    2. 휴일 가산(<=8h): 12,000 × 0.5 × 8 = 48,000원
    3. 휴일 가산(>8h): 12,000 × 1.0 × 2 = 24,000원
    4. 야간 가산: 12,000 × 0.5 × 3 = 18,000원
    5. 합계: 120,000 + 48,000 + 24,000 + 18,000 = 210,000원
    6. 체감 단가: 주간 1.5배, 초과 2배, 야간겹치면 2배/2.5배가 됩니다.

    휴일 근무수당 계산기

    4. 자주 나오는 질문(FAQ)

    Q1. 휴일 근무 9시간이면 9시간 모두 200%인가요?

    아닙니다. 첫 8시간은 150%, 초과 1시간만 200%입니다. 단, 야간이면 해당 시간에 +50%가 추가됩니다.

    Q2. 휴일 근무가 평일 규정과 겹치면 어떻게 계산하나요?

    ‘연장(8시간 초과)’, ‘야간(22~06)’, ‘휴일’ 각각의 요건을 충족한 시간 단위로 중복 가산합니다. 계산기는 이를 자동 분해하여 가산합니다.

    Q3. 월급제인데 상여·식대가 포함됩니다. 통상임금은?

    통상임금은 정기성·일률성·고정성을 충족하는 임금만 포함합니다. 상여금이라도 매월 고정 지급·일률 지급이면 포함될 수 있고, 식대·교통비 등 복리후생적 수당은 보통 제외합니다(회사 규정·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Q4. 주휴수당과 휴일수당은 같은가요?

    주휴수당은 유급 주휴일에 대한 지급 의무이고, 휴일수당은 그 유급일에 실제 근로가 발생했을 때의 가산임금입니다. 서로 다른 개념입니다.

     

    휴일 근무수당 계산기

    5. 현명한 체크리스트

    • 근무기록(출퇴근·야간 구간)과 휴일 여부를 명확히 남겼는가?
    • 취업규칙·단체협약의 유리한 조항이 있는가?
    • 월급 환산 시 209시간 기준을 사용했는가?(회사가 별도 기준을 쓰는지 확인)
    • 고정수당 포함/제외 등 통상임금 범위를 인사·급여 담당과 합의했는가?

    휴일 근무수당 계산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