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인적공제 기준

수익을 만들자 2025. 7. 18. 09:21

목차



    반응형

    👨‍👩‍👧‍👦 인적공제 기준 총정리 – 연말정산 절세 핵심 포인트

    인적공제 기준
    인적공제 기준

     

    연말정산에서 가장 기본이면서도 중요한 항목이 바로 인적공제입니다.

    하지만 공제 대상자 요건이 까다로워 매년 실수하거나 누락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인적공제 조건과 유의사항

    을 정리해 드립니다.

    1. 인적공제란?

    인적공제는 본인, 배우자, 부양가족 등 기본공제 대상자 1인당 연간 150만 원의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항목입니다.

    기본공제 외에도 추가공제를 받을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인적공제 기준

    2. 인적공제 기본 요건

    구분 요건
    나이 기준 만 60세 이상 (부모 등), 만 20세 이하 (자녀 등)
    소득 기준 연간 소득 100만 원 이하 (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총급여 500만 원 이하)
    동거 여부 무관 (단, 형제자매는 동거 필요)

    3. 공제 가능한 대상자

    • 📌 본인 (장애인일 경우 추가공제 가능)
    • 📌 배우자 (연 소득 100만 원 이하)
    • 📌 직계존속 (부모, 조부모 등)
    • 📌 직계비속 (자녀, 손자녀 등)
    • 📌 형제자매 (만 20세 이하 또는 60세 이상)

    👉 사실혼 배우자는 공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외국 국적 부양가족도 일부 요건을 충족해야 공제 가능하므로 사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인적공제 기준

    4. 추가공제 항목

    • 👵 경로우대공제: 만 70세 이상 → 100만 원 추가공제
    • 🧑‍🦽 장애인 공제: 장애인 등록 시 → 200만 원 추가공제
    • 👶 한부모공제: 배우자 없이 자녀를 부양하는 경우 → 100만 원 추가공제

    인적공제 기준

    5. 인적공제 시 주의사항

    • ❗ 부양가족이 중복으로 공제되면 부당공제로 간주됨
    • ❗ 맞벌이 부부는 자녀 1명을 중복공제할 수 없음
    • ❗ 자녀가 군 복무 중이라도 나이·소득 요건 충족 시 공제 가능

    ✅ 마무리 요약

    • 1인당 150만 원 기본공제, 조건 충족 시 추가공제 가능
    • 연 소득 100만 원 이하 + 나이 요건 충족해야 함
    • 가족 관계 및 소득증빙자료는 홈택스 간소화 서비스에서 확인 가능

    매년 연말정산에서 놓치기 쉬운 인적공제! 이번 해에는 꼼꼼히 챙겨서 13월의 월급 꼭 받아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