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을 만들자 2025. 8. 20. 18:46
반응형

주민세 개념부터 납부 방법까지 한눈에! 

 

주민세
주민세

 

지방세 중에서도 매년 납부해야 하는 주민세, 헷갈리기 쉬운 세목별 특징부터 납부 시기, 계산법까지 쉽게 정리했습니다.

1. 주민세란?

주민세는 지방자치단체 구성원으로서 내는 ‘회비’ 성격의 세금입니다.
세목은 아래 세 가지로 간소화되어 있습니다

  • 개인분: 세대주 기준 정액 과세
  • 사업소분: 사업소 면적 기준 과세
  • 종업원분: 종업원 급여 총액 기준 과세 (서초구청, 행정안전부)

주민세

2. 주민세 종류별 요약 표

세목 납세 대상 과세 기준일 납부 시기

개인분 해당 지자체에 주소 둔 세대주 매년 7월 1일 8월 16일 ~ 31일 (부천시청, english.saha.go.kr, 안동시청)
사업소분 사업장을 둔 개인사업자・법인 매년 7월 1일 8월 1일 ~ 31일 (신고·납부) (안동시청, 비즈폼)
종업원분 급여 지급 사업주 (월급 총액 기준) 해당 없음 매달 급여 익월 10일까지 신고·납부 (안동시청, 부산 동구청)

3. 세율 및 과세 기준

  • 개인분
    • 정액 과세: 약 10,000원
    • 지방교육세 포함 시 10% 추가 (약 12,500원 상당) (서초구청)
  • 사업소분
    • 기본세율:
      • 개인사업자: 약 62,500원 (교육세 포함)
      • 법인: 62,500원 ~ 250,000원 (자본금 규모에 따라) (관악구청, 부천시청)
    • 면적 기반 추가 과세:
  • 종업원분
    • 종업원 급여 총액의 0.5% 부과 (월평균 급여 총액 1억 8천만 원 초과 시 적용)

주민세

4. 납부 방법 정리

  • 온라인: 위택스(www.wetax.go.kr) 또는 각 지자체 홈페이지
  • 오프라인: 고지서 또는 우편, 직접 방문, 카드/은행 납부 등 (비즈폼)

 

5. 가산세 방지 팁

신고·납부를 제때 하지 않으면 아래와 같은 가산세가 부과됩니다:

  • 무신고 가산세: 20%
  • 과소신고 가산세: 10%
  • 납부 지연 가산세: 납부 지연일 × 세액 × 0.00022
    단, 일부 지자체는 2026년까지 사업소분에 한해 가산세 면제 (부천시청)

6. 실전 팁 정리

  • 내게 해당하는 주민세 종류부터 확인 (개인인지, 사업자용인지 등)
  • 과세 기준일(7/1) 기준으로 주소・사업장 소재 확인
  • 신고와 납부 시기를 꼭 준수해 가산세 예방
  • 위택스 활용해 인터넷으로 간편하게 신고・납부 가능

 

반응형